최근들어 디젤차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, 내연기관에 대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게다가 테슬라의 등장 이후로 전기차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질 좋은 전기차들이 시중에 많이 나오게 되었는데요, 그만큼 소비자들의 관심은 전기차 보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에 쏠리고 있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2023년 전기차 보조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.
2023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
23년 2월 2일, 환경부에서는 전기차 구매보조금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. 우리가 주로 관심있게 보는 전기승용차 기준으로, 개편된 주요 내용이 어떤 것인지 보겠습니다.
- 보조금 전액 지급되는 차량 기본가격 상향 조정 : (기존) 5,500만원 -> (개편) 5,700만원
- 보조금 단가를 낮추고 지원물량은 늘려 전기차 보급 확대 : (보조금) 600만원 -> 500만원, (지원물량) 16만대 -> 21.5만대
- 성능에 따른 보조금 차등 지급 : 1회 충전 주행거리 400km까지 보조금 차등 -> 450km까지 차등 지급
- 제조사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: 보급목표이행보조금 인상(140만원), 충전인프라보조금(20만원)
2023년 전기차 보조금
2023년 전기차 보조금 최대 금액은 680만원입니다.
전기차 구매를 하면 680만원을 다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, 항목별로 나눠져서 지원 여부에 따라 최대 680만원까지 받을 수 있는건데요,
차값에 따라 지원받는 성능보조금으로 최대 500만원, 제조사에 따른 이행보조금(140만원)/충전인프라보조금(20만원), V2L 기술이 적용된 현대차 20만원 으로 나눠져있습니다.
현대, 기아차의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에는 차값에 따른 성능보조금을 제외한 나머지 보조금은 다 받을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.
전기차 가격별 보조금 지원액
전기차는 성능보조금이라는 이름으로 차값에 따라 보조금 지급을 다르게 하고 있습니다.
2023년 전기차 가격별 보조금은 어떻게 구분되어있는지 보겠습니다.
5,700만원 미만 | 보조금 100% 지급 |
5,700만원~8,500만원 | 50% 지급 |
8,500만원 초과시 | 미지급 |
주요 전기차별 보조금
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
주요 지자체별로 보조금을 보면 서울은 적은편에 속합니다. 서울과 부산은 1,000만원이 안되는 수준이지만 다른 지자체의 경우 1,000만원을 훌쩍 넘는 곳도 많습니다.
전남의 경우 1,400~1,500만원의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데, 전국에서 제일 많이 주는 보조금은 1,530만원으로 곡성군, 보성군, 해남군, 영암군, 함평군, 장성군, 진도군 등이 있습니다.
전기차 보조금 신청절차
전기차를 구매할때 구매자는 차량구매대금과 보조금의 차액을 결제하고, 자동차 제조사에서 지자체 보조금을 수령합니다(국비+지방비)
(1) 전기차 구매계약 (구매자)
(2) 전기차 구매 지원 신청서 접수 (제조사->지자체)
(3) 전기차 구매 지원 대상자 선정 (지자체)
(4) 차량 출고 및 등록
(5) 전기차 구매보조금 신청 (제조사->지자체)
(6) 보조금 지급 (지자체->제조사)
오늘은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올해 전기차 구매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.
다음에도 더 좋은 콘텐츠를 준비하겠습니다.
'이것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세법개정안 주요내용 요약 (0) | 2023.07.31 |
---|---|
육아휴직 급여 지급대상 지급액 총정리 (1) | 2023.07.31 |
2024년 최저시급 얼마나 받을까? (0) | 2023.07.20 |
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수익률 등 총정리 (0) | 2023.07.20 |
전세사기 유형 대처방법 (0) | 2023.07.01 |